PLC와 INVERTER(INV) 접속 방법, 인버터 노이즈 발생원인 해결방안
주로 사용하는 LS산전 INVERTER
노이즈의 발생원인
인버터는 인버터부에서 고속 스위칭을 행하며,
인버터스위칭을하기 때문에 노이즈의 발생 원인이 됩니다.
케이블이나 모터와 대지간에 존재하는 부유용량 (C)경유하여 노이즈 전류 (I)를 방출합니다.
이 노이즈 전류의 크기는 I = C x dv / dt 로 되며 부유용량 (C)과 dv /dt (파워소자 스위칭 속도)
에 관계됩니다. 또한 인버터 제어회로 전원용 DC/DC 컨버터도 고속 스위칭을하기 떄문에 발생
노이즈 종류
전도 노이즈 : 신호선이나 전원선을 통하여 전파
유도 노이즈 : 전자유도, 정전유도 등으로 전파
방사 노이즈 : 전자파 형태로 공중으로 전파
노이즈 경로
노이즈의 기본 대책
1.규정에 따라 접지를 한다.
2.제어선과 파워선은 격리 배선한다.
3.제어선은 차폐(SHIELD)선을 사용한다.
노이즈의 현상별 대책
현상 : 인버터 구동시 40m 이상의 거리에 있는 전화의 잡음이 들어옴.
원인 : 인버터 및 모타의 고조파 전류가 변압기의 접지를 통하여 전화선의 실드부에 흘러 정전유도
에 의한 잡음
대책 : 모타의 접지단자를 공통접지하여 인버터반에 되돌리고 인버터 입력단자와 접지간에 1㎌의
콘데서를 설치
-------------------------------------------------------------
현상 : 위치 검출기(엔코더) 신호에 노이즈가 중첩되어 기계가 오동작함
원인 : 인버터 및 모터간의 배선으로부터 신호선에 유도된 노이즈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대책 : 동력선과 신호선을 분리하고 각각의 금속관(SHIELD)한다. 분리가 어려울 경우 인버터 입력
LC필터와 용량성 필터 (콘덴서)를 설치하고 인버터 출력에도 LC 필터를 설치
-------------------------------------------------------------
현상 : PLC 프로그램 및 동일 제어반내의 계장품이 오동작
원인 : 인버터와 PLC 등 전원이 동일 계동일 경우 노이즈가 전원을 통하여
PLC 및 계장품 입력단으로 유입.
대책 : 인버터 입력측에 용량성 필터 및 LC 필터를 설치.인버터 캐리어 주파수를 낮춘다.
제어반 조작회로에 노이즈필터 및 실드변압기를 설치.
-------------------------------------------------------------
현상 : 온도센서, 압력센서 등 감지장치 오동작
원인 : 부근에 설치된 인버터의 방사 노이즈가 계장용 미약 신호에 영향을 미침.
대책 : 인버터 입력측에 LC 필터를 설치.오동작하는 지시조절계 입력단자 (DC 0~10V)에
0.01㎌ 필름 콘덴서를 삽입. 오동작하는 신호선에 변환기를 설치 (절연) 한다.
-------------------------------------------------------------
현상 : 고조파의 영향으로 전단 용량성기기 들의 과열발생 및 인버터 입력단 역률이 낮음.
원인 : 인버터 입력 전원라인의 전류파형에 저차 고조파의 왜곡이 발생되어 동일 전원계동에 접속된 기기에 영향을 미침.
대책 : 인버터 입력단에 AC 리액터를 설치하거나, 인버터 DC단에 DC 리액터를 설치한다.
-------------------------------------------------------------
현상 : 마이크로 써지로 인한 모타 소손 현상.
원인 : 인버터와 모타 사이 배선의 LC공진등에 의하여 발생된 써지전압이 모타 입력단에 인가되고, 이 써지의 크기에 의해서 모타의 절연이 파괴되어 소손됨.
대책 : 400V급 인버터로 구동되는 모타의 절연을 강화한다. 배선길이가 짧으면 인버터 출력측에 AC 리액터를 설치한다. 인버터 출력측 써지억제 필터 (LC 필터)를 설치.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