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시공 사양은 용접시공법 시방서(WPS : Welding Procedure Specification)
1. 개요 |
용접시공 사양은 용접시공법 시방서(WPS : Welding Procedure Specification)와 이를 실제 용접실험으로 증명해 주는 시공법 승인기록부(PQR : Procedure Qualification Record)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목적은 |
(1) 설계요구
사항에 따라 행하여질 용접에 대하여 용접사(수동 또는 자동용접기를 이용하는)에게 시공 지침을 주고 |
(2) 상기
지침에 의한 용접의 적절 여부를 인정함으로 현장에서 사용하는 WPS가 이상이 없음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
2. 용접시공법 시방서(WPS)와 시공법 승인기록부(PQR) |
2.1 WPS의 작성 |
(1) WPS에는 P-NO 및 Group No 모재의 Type이나 Grade(혹은 화학성분이나 기계적 성질), 용가재, 예열 및 후열처리, 두께, 방법(Process) 등의 모든 변수가 기재되어야 한다. |
(2) 변수는 Process에 따라 필수, 보충필수, 비필수 등으로 변하며특히 필수변수는 WPS에 빠짐없이 기재되어야 한다. |
(3) WPS의 작성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
2.2 PQR의 작성 |
상기 WPS에 기재된 변수 중 실제 사용될 변수(필수변수)들과 WPS에 의해 실시된 시험의 결과 및 Welding Date를 기록한다. |
2.3 WPS와 PQR의 승인 및 변경 |
(1) 작성된
WPS는 PQR에 의해 인정 또는 승인되어진다. |
(2) WPS의
내용 중 필수변수가 변하면 새로운 PQR에 의거 승인되어야 하지만 비필수 변수가 변하면 PQR의 재작성 없이 WPS에 변한 부분만을
개정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
(3) 하나의
PQR은 여러 개의 WPS를 Support할 수도 있다. |
(예: 1G의 판재용접에 대한 PQR은 판재 및 Pipe의 2G, 3G, 5G 등의 용접을 Support할 수 있다.) |
(4) 한
WPS에서 필수변수가 변할 때 이 변한 필수변수의 범위를 포함하는 다른 PQR이 있다면 이 WPS의 변한 범위도 포함할 수 있다. |
(5) 복합
용접방법(예 : GTAW + SMAW)이나 복합 용접시공사양(용접부의 형태, 용접봉의 직경, 극성 등)이 한 모재에 같이 사용될 경우
각각의 용접방법(GTAW, SMAW)과 용접시공 사양은 각각 적용된 모재의 두께 치에 한하여 인정되어지며, 다른 용접방법이나 용접시공
사양과 합께 승인될 수도 있다. |
(6) 서로
다른 두 모재를 용접하여 인정을 받은 용접방법이나 용접시공 사양은 필수변수가 같은 각각의 모재의 용접에 승인 없이 적용시킬 수 있다. |
2.4 시공법
승인 시험(WPQT : Welding Procedure Qualification Test) |
2.4.1
시편의 준비 |
시험(Mechanical Test)을 하기 위한 시편의 형태나 수량, 채취 방법 등 |
2.4.2 시험의 인정 |
(1)
Groove용접시험은 기존의 필수변수 범위 내에서 Groove 및 Fillet용접을 다 만족시킴으로 Groove와 Fillet용접에 대한
WPS의 인정시험은 Groove용접을 한 Reduced-Section 인장시편과 Guided-Bend 시편을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
(2)
Fillet용접에 대한 WPS의 인정시험만이 필요할 경우에는 Fillet용접을 한 시편을 사용하여 행하여지며, 이 때 인정 범위는 모재의
모든 두께, Fillet용접의 모든 크기, Pipe나 Tube의 모든 직경에 대하여 적용한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