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너] 화염검출기(FLAME SCANNER) 제어 시스템

`,.' 2014. 7. 10.

 

 

 


 

 

 

화염검출기(FLAME SCANNER) 종류 및 장단점 비교

 

종류

장점

단점

자외선

(UV)

- 보일러 내부의 내화벽돌이 벌겋게

  달구어졌을 때에도 화염의 상태를 정확

  하게 감지함

 [*가스 버너용]

- 렌즈오염시 화염검출 강도가 급격하게 감소함

- 벙커C유 및 경유화염의 경우, 발생하는 그을음

   (탄소알갱이)에 자외선이 상당량 흡수됨.

- 자가진단기능으로 기계적인 셔터를 사용함

- 비파괴 검사(X선으로 결함을 검출함)시 오동작

- 전자파 및 노이즈에 취약함

적외선

(IR)

- 버너화염에 있어서 적외선(IR)

  방사량은 전체 화염의 90%정도를

  차지함. 따라서, 빛의 강도가

  자외선(UV) 1%, 가시광선(VL) 8%보다 

  감지감도가 양호하다.

[*오일 버너용]

- 보일러 내부의 내화 벽돌이 달구어져 있는

  상태에서 버너화염 이 OFF되었을 때는

  화염검출기가 이를 감지하지 못함.

- 멀티 버너화염을 감지할 경우는 빛의

  강도만으로는 주위에 근접한 버너화염과

  자기버너화염을 구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오동작할 확률이 높음

가시광선

(VL)


CDS

- 자외선(UV)과 적외선(IR)의 단점으로

  지적된 문제점이 없음.

- 사람의 육안으로 구별되는 가스,오일,

   석탄 종류의 어떤 버너화염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음

- 자기 버너 화염과 근접한 주위의 버너

   화염구별이 확실함

- 버너 구조물에 가려서 화염이 잘 보이지

  않거나, 헤더감지 포인트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버너화염감지가 정확함

- 가시광선의 방사량이 거의 없는 수소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순수 수소버너인 경우

  버너 화염감지가 어려움

 

FLAME ROD 타입 : UV센서와 똑같은 월리의 전류를 사용하나 차이점은 밀봉된 전극이 아니고 화염속에 칸탈 이라고 불리우는 전극을 접촉하여 화염을 감지한다 기전력을 이용한 화염감지기


화염의 일반적인 특성


1. 열(Heat) 생산


2. 가스(GAS)의 팽창


3. 연소 부산물 생산


4. 빛(Light)의 방사 (자외성/적외선/가시광선)


5. 화염주위의 분위기 이온화 현상(Ionization)


이온화 현상(Ionization) : 전기를 띤 원자 즉, 양/음 이온이 극이로 이동하는 현상


상기중 4,5항의 특징을 이용하여 화염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화염검출기의 원리이다.





 

댓글